본문 바로가기
XMLHttpRequest XMLHttpRequest 객체 Ajax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바로 XMLHttpRequest 객체입니다. Ajax에서 XMLHttpRequest 객체는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됩니다. 웹 브라우저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해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객체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문법 let 변수이름 = new XMLHttpRequest(); 서버에 요청(request)하기 Ajax에서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합니다. 따라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는 우선 XMLHttpRequest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XMLHttpRequest 인스턴스의 open() 메소드와 send() 메소드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 2023. 2. 7.
Ajax Ajax란? Ajax란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입니다. Ajax는 빠르게 동작하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개발 기법의 하나입니다. Ajax는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도,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을 갱신할 수 있습니다. 즉 Ajax를 이용하면 백그라운드 영역에서 서버와 통신하여, 그 결과를 웹 페이지의 일부분에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때 서버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JSON - XML - HTML - 텍스트 파일 등 Ajax의 장점 Ajax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도,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을 갱신할 수 있습니다. 2. 웹 페이지가 로드된 후에 서버.. 2023. 2. 7.
정규화, 반정규화 정규화와 성능 정규화란? 데이터 베이스 설계에서 중복 요소를 찾아 제거하고 데이터를 구조화 하는 프로세스 제 1 정규화 하나의 속성은 반드시 하나의 값을 가져야 한다. *칼럼 단위에서 중복된 경우도 해당함 (sqld 기출 26p 38번 문항 참고) 제 2 정규화 제 1 정규형을 만족 주식별자가 아닌 모든 속성이 주식별자에 완전 함수 종속 되어야 한다. 함수의 부분 종속을 분리하는 과정 제2 정규형을 만족하려면 모든 속성은 반드시 기본키 전부에 종속 되어야 한다. 제 3 정규화 제2 정규화를 만족하고 이행 함수 종속이 없어야 한다. 반정규화와 성능 반정규화(역정규화)란? 정규화된 엔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2023. 2. 6.
성능 데이터 모델링 성능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성능 데이터 모델링 수행 절차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한다. 이력 모델의 조정, PK/FK 조정, 슈퍼타입/서브타입 조정 등을 수행한다. 성능 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한다. 정규화 수행 -> 용량산정 -> 트랜잭션 유형 파악 -> 반정규화 수행 2023. 2. 6.
엔터티 엔터티 엔터티의 특징 1.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2.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3.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이어야 한다. 4.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5.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한다. 6.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공통코드, 통계성 엔터티의 경우는 생략 가능!) ERD 작성 순서 엔터티를 그린다. 엔터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엔터티간 관계를 설정한다. 관계명을 기술한다.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 관계의 필수여부를 기술한다. 발생 시점에 따른 엔터티 분류 기본 엔터티 (키 엔터티)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 다른 엔티티와의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 가능 .. 2023. 2. 6.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이란?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 모델링의 특징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하는 추상화의 의미를 가짐 시스템 구현, 업무분석, 업무 형상화의 목적이 있음 복잡한 현실을 제한된 언어나 표기법으로 이해하기 쉽도록하는 단순화의 의미를 가짐 애매모호함을 배제하고 누구나 이해 가능하도록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정확화의 의미를 가짐 데이터 모델링 자체로 업무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부분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 데이터 모델링 유의사항 중복(Duplication) 데이터 모델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 시간, 그리고 장소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줌으로.. 2023. 2. 6.
[자바스크립트] 함수 함수 - 자주 쓰는 실행코드를 블록단위로 묶어놓은것 - 기능단위로 재사용하기 위해서... - 선언하기는 function키워드 사용하거나 arrow function - 호출 : 정의되어있는 함수는 호출해야 비로소 기능이 실행됨 함수의 종류 1.선언적 함수 : 이름을 붙여서 정의한 함수 - 자바스크립트를 읽을 때 우선적으로 읽어줌 - 호출 위치가 자유롭다 hap(); function hap() { console.log("선언적 함수"); } 2.익명 함수 : 이름없이 정의한 함수 - 콜백함수 - 중요 - Event - 자체로 호출 불가 - 변수에 익명함수를 대입하거나 특정 이벤트 객체에 대입해서 호출 3.대입형 함수 : 변수에 익명함수가 대입된 형태 - *일급함수랑 *고차함수 더보기 일급 함수 함수를 다른 .. 2023. 2. 2.
[자바스크립트] 즉시실행함수 즉시실행함수 즉시실행함수 (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는 정의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함수를 말한다. 괄호가 2개 들어감 첫번째 - 함수의 선언부 두번째 - 함수 호출하는 괄호 (function () { console.log("IIFE"); })(); // 화살표 함수로도 사용 가능하다 (() => { console.log("IIFE"); })(); 실행시 선언과 동시에 IIFE를 출력한다! 즉시실행함수는 선언과 동시에 호출되어 반환되어 재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의미가 없다. 즉시실행함수를 왜 사용할까? 1. 필요없는 전역 변수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 함수를 생성하면 그 함수는 전역 변수로써 남아있게 되고, 많은 변수의 생성은.. 2023. 2. 1.
[자바스크립트] 호이스팅 호이스팅(Hoisting) : 블록안에서 선언된 지역변수가 코드블록 밖으로 끌어올려지면서 강제로 전역변수화 되는 현상 선언을 나중에 했는데 끌어올려져셔 오류가 나지 않는다 -> 사용하면 안된다! console.log(x); var x = 2; var을 사용시 호이스팅 이슈로 인해 실행시 오류가 나지 않는다. -> undefined 찍힘. console.log(x) let x = 2; //const x = 2; let과 const는 런타임 에러 발생한다. 2023. 2. 1.